급여 업무에 필요한 필수 개념(기본급, 법정수당, 연차, 퇴직금, 4대 보험)과
자주 물어보는 자문 사례(실제 회원사 자문 이슈)를 모았습니다.
Part 1. 기본급
- 급여 계산 시 원 단위나 소수점 단위는 절사해도 되나요?
- 통상임금 계산에서 209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 최저임금 미달 여부는 어떻게 판단하나요?
- 평균임금에 포함되는 수당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Part 2. 법정수당
- 휴일 근로 시 시급제/월급제 근로자의 계산 방법이 다른가요?
- 공휴일이 근무가 없는 날과 겹치면 유급휴일수당을 어떻게 처리하나요?
- 고정OT를 일할 계산해도 되나요?
Part 3. 연차유급휴가
- 회계연도로 연차를 부여하는 경우, 퇴직연차도 회계연도 기준으로 정산해도 되나요?
- 초과 사용한 연차를 퇴사 월 급여에서 공제할 수 있나요?
- 시간 단위의 연차(반차 또는 반반차)는 어떻게 차감하나요?
Part 4. 퇴직금
- 퇴사한 근로자의 퇴직금 지급 기일을 늦출 수 있나요?
- 육아휴직자의 DC형 부담금은 어떻게 산정하나요?
- 퇴직금에 개인 사정으로 휴직한 기간을 재직기간으로 포함하나요?
- 근로자가 IRP 개설을 거부하면 퇴직금을 어떻게 지급하나요?
Part 5. 4대 보험
- 근로자가 4대 보험 가입을 원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하나요?
- 4대 보험은 이중 가입이 가능한가요?
- 당월 입사 후 퇴사하는 직원은 4대 보험을 어떻게 처리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