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보면 쉬운 근로기준법]은 노동관계법령 중에서 가장 기본이면서 근간이 되는 근로기준법을 누구나 알 수 있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게 풀어드립니다.😉
대학원 진학을 목적으로 가족돌봄휴직을 활용한 직원, 알고 보니 그 기간 동안 이직을 준비했고 휴직 종료와 함께 퇴사한다고 합니다. 이럴 경우, 섭섭하고 괘씸한 마음에 이직할 직장에 연락하여 “그 직원 뽑지마세요!”라고 말하면 위법일까요?
새로운 경력직 입사자가 있어 이전 직장에서의 근무태도 등에 대해 평판조회(Reference Check)를 하는 것은 불법인가요? 이럴 때 찾아보아야 하는 조항이 근로기준법 제40조입니다.
오늘의 PICK. 제40조(취업 방해의 금지)
누구든지 근로자의 취업을 방해할 목적으로 비밀 기호 또는 명부를 작성 · 사용하거나 통신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 취업을 방해할 목적 금지
- 비밀 기호, 명부 작성 및 공유, 통신 금지
목적이 무엇인지가 가장 중요해!
근로기준법 위반이 성립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근로자의 취업을 방해할 목적”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예요. 즉, 일반적으로 취업을 방해할 의사가 없었거나, 단순한 경력조회에 해당하는 경우는 근로기준법 위반이 아닌 것이죠. 고용노동부도 동일하게 해석하고 있어요. (근기 68207-1621, 1994. 10 .11. 회시 참조)
이런 차원에서 실무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평판조회 Reference Check)도 근로기준법 위반은 아니예요. 다만, 평판 조회하고자 하는 내용이 대부분 근로자의 개인정보에 해당할 것이므로,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이슈가 발생하지 않게 입사 지원자들에게 평판조회에 관한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를 받는 것이 필요해요.
〰 IMHR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지적 자산이며, IMHR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해당 콘텐츠를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으로 이용하는 일체 행위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