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고 물을 수 있는 노무사 x HR 전문가, IMHR 입니다.
IMHR’s 한줄 답변
취업규칙에 대해 직원들의 과반수 의견청취 또는 동의를 받았다면, 미신고 취업규칙도 효력이 있습니다.
전문가 세부 설명
근로기준법 제93조에서는 취업규칙을 작성 또는 변경하는 경우에는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도록 사용자에게 의무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해당 조항으로 인해 제정 또는 개정된 취업규칙을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지 않았을 때, 취업규칙의 효력이 없는 것이 아닐까 생각할 수 있는데요.
이에 대해 대법원 판례(대법원 2004. 2. 12. 선고, 2001다63599판결) 및 고용노동부 행정해석(근기 01254-8855, 1991. 6. 21. 회시)은 “고용노동부장관에 신고 절차와 취업규칙 효력 여부는 별개”라는 입장입니다. 즉, 근로기준법상 신고 의무 규정은 취업규칙에 대한 감독 행정상 필요한 것이며, 효력 요건이 아닌 것입니다.
따라서 제정 또는 개정된 취업규칙에 대해 근로기준법 제94조에서 정하는 바와 같이, 직원 과반수의 의견청취 또는 집단적 동의 절차를 거친다면 해당 취업규칙은 효력이 발생하는 것이며, 신고 의무를 위반하였다고 해서 취업규칙의 효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실무 TIP] 취업규칙 제정, 개정 절차
- 제정 또는 직원들에게 유리한 내용으로 변경 시: 과반수 노동조합 또는 (과반수 노동조합이 없을 경우) 근로자 과반수의 의견청취
- 직원들에게 불리한 내용으로 변경 시: 과반수 노동조합 또는 (과반수 노동조합이 없을 경우) 근로자 과반수의 동의
Read it! 취업규칙 변경 절차
〰 IMHR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지적 자산이며, IMHR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해당 콘텐츠를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으로 이용하는 일체 행위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