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HR

[한줄 자문] 계약직 근로자에게는 계약기간 만료 전, 언제 알려줘야 하나요?
IMHR Outline

믿고 물을 수 있는 노무사 x HR 전문가, IMHR 입니다.
자문 서비스 소개

IMHR’s 한줄 답변

법으로 정하는 사항은 없으나 30일 전 또는 최소 1~2주 전에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전문가 세부 설명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자(소위 계약직 근로자)와의 근로계약은 계약 체결때부터 업무 시작일과 업무 종료일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에 서로가 별도로 정함이 없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업무 종료일에 해당 근로계약도 해지되는 것이죠.

그런데 실무적으로 계약직 근로자와의 근로계약이 종료될 때 별도의 통보절차가 필요한지에 대해 많은 인사담당자분들이 질문을 하십니다. 마치 해고예고제도처럼 30일 전에 통보하는 법정 절차가 있는 것 아니냐고 생각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 기존에 근로계약을 반복하여 체결한 사실이 없고,
  • 직원 스스로도 계약기간 만료 사실을 인지하고 있거나 충분히 인지할 수 있는 상황이며,
  • 타 계약직 근로자도 재계약이 없는 등 근로계약에 관한 갱신기대권*이 없다면,

별도 통보 절차없이 근로계약은 만료된다고 보면 됩니다.

*갱신기대권이란?
근로자에게 근로계약이 갱신될 수 있으리라는 정당한 기대권이 인정되는 것을 말하며, 판례를 통해 인정된 개념

:
HR 콘텐츠를 더 읽고 싶다면,

콘텐츠 멤버십 회원이 되어 마음껏 경험해 보세요!

우리 회사에 필요한 HR의 모든 것!

인사노무 + 노동법 + HR 자문까지,
HR 전문가 팀이 지원합니다.

*자문 x 페이롤 함께 계약 시 할인

노무사 + 페이롤 전문가 팀은 보다 완벽합니다.

급여관리는 전문가에게 맡기고
HR에 집중하세요.

*자문 x 페이롤 함께 계약 시 할인

〰 IMHR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지적 자산이며, IMHR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해당 콘텐츠를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으로 이용하는 일체 행위를 금지합니다.

좋은 HR을 만드는 일,
IMHR과 함께 하면 됩니다.

아래 양식에 접수해주시면
가장 정확하고 빠르게 확인합니다.

✉️ willdo@imhr.work

버튼을 한 번만 눌러주시고 잠시 기다려 주세요.

페이롤 레터 구독 신청

매달 반복되는 숫자 너머,
급여를 둘러싼 조직의 질문과 고민을 나눠봅니다.

페이롤 레터와 HR 뉴스레터
각각 구독해 주세요!

선택 취소하기
선택 취소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페이롤 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구독 신청을 확인하는 이메일이 발송되니,
구독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