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무슨 말인가요?
참되고 진실된 마음이 채용에 필요한 전략이라니요.”
채용에서의 진정성이란
채용에 있어 ‘진정성’을 담는다는 것은, 간단히 말해 우리 회사의 핵심적인 모습을 있는 그대로 진실되게 구직자와 지원자들에게 보여주는 것입니다.
회사 문화, 직장 분위기, 근로 조건, 근무 환경 등 구직자의 입장에서 자신이 지원할 회사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주어 그들로 하여금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솔직한 회사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지원자로 하여금 정신적 안정감과 확신감을 주어 보다 효율적인 채용에 기여할 수 있으며, 하나의 채용 브랜딩으로 작용하여 회사 이미지와 장기적으로 채용 모집에 도움이 됩니다.
구직자의 입장에서 새로운 회사를 알아보고 찾는다는 것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닙니다. The Holmes-Rahe Life Stress Inventory의 스트레스 지수를 보면, 우리가 생활하면서 겪을 수 있는 사건들 중에, 해고가 유발하는 스트레스 지수가 상위 10위 안에 들고, 직무의 변화가 친한 친구의 죽음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이렇듯 개인에게 있어 구직이라는 이벤트는 감정적 소모가 많고 스트레스가 많은 일이며, 개인 인생에 있어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사건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구직이 이루어지는 보통의 과정을 보면 제대로 된 정보에 근거하여 제대로 잘 알고 지원하는 경우가 많지 않습니다. 단편적인 회사의 전체적인 이미지나 일부 사람들의 의견에 의존하고 있지는 않은가요?
진정성 있는 Recruitment란
지원자가 일하게 될 회사뿐만 아니라 해당 직무와 조건 등의 현실을 인식시켜 주는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의 유효한 전략이 될 수 있고, 지원자에게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 회사 이미지만 보고 입사했는데, 포장이 너무 과하다는 사실을 하루 만에 깨달았다.
- 연봉 수준이 좋아서 입사했는데, 하는 일이나 업무 강도를 생각하면 사기였다.
- 수평적이고 친근한 분위기라고 들었는데, 그건 우리 부서 얘기가 아니었다.
- 연봉 5천만원이라고 했는데, 그건 모든 보상을 싹싹 긁어 담고 보너스가 나올 경우의 금액이었다.
- 해외 영업 직무라고 영어 면접도 봤는데, 1년째 영어 구경을 못하고 있다.
- 아무튼 내가 지원할 때 알았던 회사와 내가 다니는 회사는 다른 회사이다.
지원자의 입장에서 어렵고 고민스러운 결정을 통해 입사를 하고도 후회하고 바로 다음 이직을 고민하는 일이 없어야 하고, 회사 입장에서도 힘들게 공들여 채용한 인재가 회사나 직무에 만족하지 못하거나 금방 퇴사해 버리는 최악의 경우가 없어야 하겠습니다.
채용에 진정성을 담는 방법
(진정성 있는 채용 브랜딩 전략)
1) 회사의 모습을 전달할 수 있는 온라인 채널 확보하기
온라인이 생활의 중심이 된 요즘이지만, 그 중에서도 채용은 온라인의 의존도가 매우 높습니다. 채용 공고도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고, 최근에는 면접도 언택트 방식으로 하기도 합니다. 특히 구직자가 지원할 회사를 알아보는 거의 유일한 채널은 온라인입니다. 따라서, 우리 회사를 제대로 알릴 수 있는 온라인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
〰 IMHR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지적 자산이며, IMHR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해당 콘텐츠를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으로 이용하는 일체 행위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