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고 물을 수 있는 노무사 x HR 전문가, IMHR 입니다.
IMHR’s 한줄 답변
납입 부담금의 운용 주체, 계산 방법, 중도 인출 가능 여부가 다릅니다.
전문가 세부 설명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이하 퇴직급여법)에서는 근로자의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을 위해 퇴직급여제도에 관한 사항을 정하고 있습니다. 퇴직연금제도 중 확정급여형(DB)과 확정기여형(DC)은 퇴직급여 재원을 금융기관에 적립·운용하고, 직원이 퇴직 시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수령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 퇴직연금 도입 사업장(2022년) : 43만6천 개소(2021년 42만5천 개소, 전년 대비 2.7% 증가)
* 퇴직연금제도 도입 유형(2022년) : 확정기여형(66.4%), 확정급여형(20.6%), 병행형(7.2%), IRP특례(5.8%)
확정급여형(DB)은 직원의 퇴직급여 수준(퇴직금과 동일)이 사전에 확정되어 있는 제도로, 회사가 매년 부담금을 운영하는 주체가 됩니다. 즉, 직원이 수령하는 퇴직급여액은 퇴직금 제도와 다르지 않아요. 임금 상승률이 높은 사업장, 관리 능력이 있는 기업 등에 적합한 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확정기여형(DC)은 회사의 부담금 수준이 연간 임금 총액의 1/12로 사전에 확정되어 있는 제도로, 직원이 적립금 운용의 주체가 되는 방식입니다. 즉, 퇴직급여액 수준은 운용 성과에 따라 변동되는 것이죠. 매년 성과에 따라 총급여가 변동되는 연봉제를 실시하는 기업, 이직이 빈번한 경우에는 DC형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두 제도는 부담금 운용 주체, 퇴직급여액 수준, 중도 인출 가능 여부 등의 많은 차이점이 존재하므로, 회사와 직원의 상황에 맞게 도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IMHR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지적 자산이며, IMHR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해당 콘텐츠를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으로 이용하는 일체 행위를 금지합니다.